Processing math: 100%

1. 변수

▶ Type 함수 - type(변수명)

 : 데이터의 형태를 판별

a = 10
print(type(a))
더보기

<class 'int'>

 

▶ 형 변환

 : 정수, 실수, 문자열 등 변수의 자료형 변환

num1 = 10
str1 = str(num1)
print(str1, type(str1))
str2 = "20"
num2 = int(str2)
print(num2, type(num2))
str3 = "12.34"
num3 = float(str3)
print(num3, type(num3))
더보기

10 <class 'str'>
20 <class 'int'>
12.34 <class 'float'>

 

2. 문자열

▶ 문자열 인덱싱 & 슬라이싱

 : 문자열에서 인덱스(주소값)를 통해 한 글자(인덱싱) 또는 여러 글자(슬라이싱)를 읽는 것으로,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함

str1 = "python"
print(str1[0], str1[4])
str2 = "123456789"
print(str2[2::3])
str3 = "ABCDE"
print(str3[::-1])
더보기

p o
369
EDCBA

  • 슬라이싱에서 인덱스는 시작인덱스:끝인덱스:오프셋 으로 구성됨
    (오프셋 : 인접 인덱스와의 간격, + : 시작>끝, - : 끝>시작)

 

▶ 문자열 치환 - replace()

 : 문자열에서 replace 메소드를 사용하여 일부 문자열을 치환함

mobile_dot = "010.1234.1234"
mobile = mobile_dot.replace(".", "-")
print(mobile)
더보기

010-1234-1234

  • 문자열은 수정할 수 없는(Immutable) 자료형으로, 기존 문자열은 그대로 유지된 채 치환된 새로운 문자열이 반환됨

 

▶ 문자열 분리 & 결합 & 반복 - split()

  • 분리 : 문자열에서 split 메소드를 사용하여 특정 문자(또는 문자열)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함
  • 결합 : 덧셈 기호(+)로 문자열들을 결합함
  • 반복 : 곱셈 기호(×)로 문자열을 반복함
url = "https://www.goooogle.com"
url_domain = url.split('.')
print(url_domain[-1])
str1 = "Hello"
str2 = "World!"
print(str1 + ' ' + str2)
str3 = "Hi"
print(str3 * 3)
더보기

com
Hello World!
HiHiHi

 

▶ 문자열 출력 - "%변수형" % (변수명), "{}".format(변수명), f"{변수명}"

 : 여러 방법의 print 포맷팅을 통해 문자열, 정수, 실수 등을 출력함

date = "2020-11-13" 
cmp_cd = "005930"
price = 62700
print("날짜: %s 종목: %s 주가: %d" % (date, cmp_cd, price))
print("날짜: {} 종목: {} 주가: {}".format(date, cmp_cd, price))
print(f"날짜: {date} 종목: {cmp_cd} 주가: {price}")
더보기

날짜: 2020-11-13 종목: 005930 주가: 62700
날짜: 2020-11-13 종목: 005930 주가: 62700
날짜: 2020-11-13 종목: 005930 주가: 62700

 

▶ 문자열 좌우 공백 제거 - strip(), lstrip(), rstrip()

 : 문자열에서 strip() 메소드를 사용하여 좌우 공백을 모두 제거하거나,
   lstrip() 또는 rstrip() 메소드를 사용하여 한 쪽의 공백을 제거함

str1 = "    Hello World!    "
str2 = str1.strip()
print(str2 + '.')
str3 = str1.lstrip()
print(str3 + '.')
str4 = str1.rstrip()
print(str4 + '.')
더보기

Hello World!.
Hello World!    .
    Hello World!.

 

▶ 문자열 대소문자 변경 - capitalize(), upper(), lower()

 : 문자열에서 capitalize() 메소드를 사용하여 문장의 첫 단어를 대문자로 시작하게 하거나,

   upper() 메소드와 lower() 메소드를 사용하여 전체 영문자를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변경함

str1 = "hello world!"
str2 = str1.capitalize()
print(str2)
str3 = "$: Usd ₩: Krw"
str4 = str3.upper()
print(str4)
str5 = str4.lower()
print(str5)

 

 

더보기

Hello world!
:USD:KRW: usd ₩: krw

 

▶ 문자열 시작 문자열 비교 - startswith( ("시작 문자열1", "시작 문자열2", ...) )

 : 문자열이 시작 문자열들 중 하나로 시작하는지 확인함

file1 = "2020_project01.xls"
print(file1.startswith("2020"))
더보기

true

 

▶ 문자열 최종 문자열 비교 - endswith( ("최종 문자열1", "최종 문자열2", ...) )

 : 문자열이 최종 문자열들 중 하나로 끝나는지 확인함

file1 = "test.txt"
print(file1.endswith("txt"))
file2 = "test.xls"
print(file2.endswith(("xlsx", "xls")))
더보기

true
true

 

'✒️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 #1] 초보자 온라인 개발환경  (0) 2020.05.10

# 고소융 변신

  1. 더보기
    성능, 다기능 가능
  2. 더보기
    형화 가능
  3. 더보기
    높은 통성
  4. 더보기
    성기의 부담이 작다
  5. 더보기
    높은 뢰도

# 케인 변절해서 모선 단락

  1. 더보기
    이블의 절연파괴
  2. 더보기
    축의 접촉
  3. 더보기
    전기기기 (압기) 내부에서의 연불량
  4. 더보기
    모선에서의 선간 및 3상 단락
  • 탭 Tap
더보기

과전류 계전기의 최소 동작 전류

  • 레버 Lever
더보기

과전류 계전기의 동작 시간

# 원철편 원구멍

  1. 더보기
    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
  2. 더보기
    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

OOO 상태에서 OOOOO 및 OOOO의 110%를 인가하여

계기의 원판이 O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

 

 

OOO :

더보기

무부하

OOOOO :

더보기

정격주파수

OOOO :

더보기

정격전압

O :

# 적산과부 주기살이

  1. 더보기
    부하 내량이 클 것
  2. 더보기
    하특성이 좋을 것
  3. 더보기
    파수, 온도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 할 것
  4. 더보기
    계적 강도가 클 것
  5. 더보기
    내 및 옥외에 설치가 적당한 것

 

더 알아가기

적산전력계의 측정값

P [kW]=3600ntk×CT×PT

 

  -. n : 회전수 [회] , t : 시간 [sec] , k : 계기정수 [rev/kWh]

# 동중수저난전

더보기

성선밀형독성력케이블

 

+ Recent posts